본문 바로가기
경제

서울 집값 상승/하락 그래프 순위 및 전망

by 이슈람 2025. 6. 27.
반응형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20주 연속 상승하며 다시 한번 부동산 시장에 불이 붙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집값 상승 원인부터 데이터 분석, 정부 정책 및 향후 전망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최근 서울 집값 상승 현황

  • 2025년 6월 3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 주간 상승률 0.36%로 2018년 이후 최대폭 기록
  • 20주 연속 상승세 지속 중
  • 성동구(+0.76%), 강동구(+0.69%), 마포구(+0.66%) 등 강세 지역 다수

📈 1. 최근 상승률 TOP 지역 (6월 기준)

  • 성동구: 이번 주 +0.99%, 12년 2개월 만의 최고 상승폭
  • 마포구: +0.98%,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 돌파
  • 광진구: +0.59%, 2018년 이후 최대 
  • 강남 (+0.84%), 서초 (+0.77%), 송파 (+0.74%), 용산 (+0.74%) 등 강남권도 고속 상승 중 
  • 외곽 상승세 확대: 구로 +0.14%, 관악 +0.14%, 중랑 +0.09%, 도봉 +0.06% 

📉 2. 하락 또는 약보합권 지역

서울 내에서는 극소수지만, 전국적 관점에선 2025년 3월 KB금융 전문가 설문 기준 지방·중소도시의 약 84%가 하락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특히 세종시와 지방광역시, 그리고 서울 강북 일부 노·도·강에서도 약세가 일부 감지됩니다 

 

 왜 이렇게 오를까? — 상승 요인 분석

1. 저금리 기조와 풍부한 유동성

한국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기준금리가 2.5%까지 하락, 시중 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2. 전세난 심화로 매매 전환 수요 증가

전세 물량 부족과 전세가 상승으로 매매 전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특정 지역 중심의 양극화 현상

강남·용산·마포·성동 등 인기 지역 중심으로 가격이 빠르게 상승 중입니다.

4. 부동산 심리 상승

한국은행의 주택가격전망지수가 120을 기록하며 소비자들의 기대 심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로 보는 과열 경고

지표 내용
서울 집값 상승률 전년 대비 +3.63% (2025년 상반기)
수도권 전체 상승률 +1.68%
12년간 상승폭 서울 +112%, 전국 평균 +43%
가계부채 2025년 들어 급증세 지속

시장의 위험 요인과 정책 대응

  • 가계부채 부담 증가: 한국은행이 금융 불안정성 경고
  • 거래 규제 재도입: 일부 인기 지역(강남, 용산 등)에서 거래 제한 강화
  • 정부 공급 확대 예고: 공급 부족 완화 위한 개발 정책 준비 중

 향후 전망

1. 단기 급등세 지속 가능성

하반기에도 금리 인하와 심리 상승세로 단기적 상승세 유지 전망

2. 중장기 변수는 공급과 정책

공급 부족 장기화 가능성과 더불어 정부의 규제 정책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3. 전문가 의견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2025년 안에는 추가 상승 여력 충분”하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서울 집값의 상승은 단순한 투기 수요 때문이 아닌, 구조적 문제와 정책, 금리, 심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부동산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지금의 흐름 속에서 정부 정책 방향과 금리 변동, 공급계획을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