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델몬트 파산 이유와 향후 전망, 138년 전통 과일 제국의 몰락…

by 이슈람 2025. 7. 3.
반응형

전 세계인의 아침 식탁을 책임지던 델몬트(Del Monte)가 결국 파산 보호를 신청</strong하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델몬트 바나나’, ‘델몬트 파인애플 주스’로 익숙했던 브랜드의 몰락은 단순한 기업 부도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왜 델몬트는 무너졌고,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목차


델몬트는 어떤 회사인가?

Del Monte Foods Inc.는 1886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된 식음료 기업으로, 과일 통조림, 주스, 냉동 식품 등에서 세계적 영향력을 가졌습니다.

  • 1886년: Del Monte 브랜드 출범
  • 1920~70년대: 미국 가정 식탁의 필수 브랜드로 성장
  • 1990년대 이후: 글로벌 시장 확대, 바나나·파인애플 수출 집중
  • 2002년: Del Monte Foods와 Fresh Del Monte로 분할

미국 내에서는 통조림 과일과 냉동 야채로, 글로벌 시장에서는 바나나·파인애플 브랜드로 유명합니다. 한국에서는 롯데칠성음료가 델몬트 브랜드 주스를 제조·판매하고 있어 많은 소비자에게 친숙한 이름이죠.

 


델몬트 파산 이유,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다

2025년 6월, Del Monte Pacific Limited는 미국 법원에 Chapter 11 파산 보호 신청을 하며 공식적으로 구조조정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이 기업은 미국과 아시아 지역 사업을 함께 운영하는 복합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부채는 약 20억 달러(한화 약 2.7조원)에 달했습니다.

주요 파산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후 변화: 엘니뇨 등으로 바나나와 파인애플 농작 피해 심각
  2. 물류 대란: 팬데믹 이후 해상 운송비 폭등 + 공급망 붕괴
  3. 원재료·인건비 상승: 생산 비용 급증, 가격 경쟁력 상실
  4. 소비 트렌드 변화: 설탕·가공식품 기피, ‘클린라벨’ 선호 확산
  5. 브랜드 관리 실패: 신제품 부족, 유통 전략 미비

즉, 델몬트의 파산은 단기적인 수익 감소가 아닌 산업구조 전환에 대응 실패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델몬트의 사업 구조와 브랜드 소유권

델몬트는 복잡한 글로벌 브랜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유럽/아시아 권역마다 소유 주체가 다릅니다.

지역 브랜드 소유
미국 Del Monte Foods Inc.
중남미, 유럽 Fresh Del Monte (독립 상장사)
한국 롯데칠성음료(브랜드 라이선스)

따라서 파산한다고 해서 브랜드 전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업 부문별로 매각 또는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 소비자 입장에서 델몬트는?

많은 소비자가 궁금해하는 질문이 바로 이것입니다: “마트에서 델몬트 주스는 계속 살 수 있나요?”

답은 "예", 한국에서 판매되는 델몬트 주스는 롯데칠성음료가 제조 및 판매 중이며,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글로벌 브랜드 가치 하락 시 수출 제품 라인업 축소나 계약 변경 가능성은 있습니다.


델몬트의 미래는? 인수설과 구조조정

델몬트 파산 소식이 전해진 이후, 식품업계에서는 곧바로 ‘델몬트 인수전’이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주요 인수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울 푸드(Dole Food): 글로벌 과일 유통 1위, 바나나와 파인애플 사업 통합 기대
  • 펩시코(PepsiCo): 음료사업 시너지 가능성 (트로피카나·게토레이와 연계)
  • 네슬레(Nestlé): 아시아 식품사업 강화 목적
  • 아마존(Amazon): 홀푸드와 식료품 라인 강화 전략

델몬트는 파산 보호 아래에서도 브랜드를 유지한 채 일부 사업 정리 및 매각을 추진 중이며, ‘델몬트’라는 이름은 다른 기업 소속으로도 계속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델결론: 델몬트 파산, 소비자와 산업에 주는 메시지

  • 델몬트는 138년 역사의 상징적인 글로벌 브랜드
  • 기후 위기, 트렌드 변화, 공급망 붕괴 등이 복합 작용
  • 브랜드는 유지되나, 주체는 바뀔 수 있음
  • 한국 내 제품은 당장 영향 없지만 추후 변화 가능성 있음

반응형

댓글